카드 소득공제 폐지를 앞두고 많은 직장인들이 우려하고 있습니다. 2025년 12월 31일부로 예정된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소득공제 제도의 종료는 약 569만 명의 직장인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연봉에 따라 최대 49만원의 추가 세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논의의 배경에는 국가 재정 상황이 있습니다. 국세청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3-2024년 약 87조원의 세수 결손이 발생했고, 2025년에도 17조원의 세수 부족이 예상됩니다. 1999년 도입된 카드 소득공제는 자영업자 과표 양성화라는 당초 목표를 달성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폐지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현재 카드 유형별로 신용카드는 15%, 체크카드와 현금영수증은 30%의 공제율이 적용되고 있으며, 연봉 7천만원 이하 직장인은 최대 300만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납세자연맹의 분석에 따르면, 소득 구간별로 연봉 1,000만원 초과~2,000만원 이하는 약 10만원, 4,000만원 초과~6,000만원 이하는 약 28만원의 추가 세금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다양한 절세 방안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연금계좌 납입을 통한 세액공제(연간 900만원 한도)나 주택청약저축 소득공제(월 25만원, 연 300만원 한도) 등이 대표적입니다. 또한 의료비·교육비 세액공제, 기부금 세액공제, 월세 세액공제 등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체계적인 연말정산 준비도 필수입니다. 홈택스 연말정산 서비스를 통해 지출 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남은 기간 예상 지출을 반영한 환급금 계산으로 맞춤형 절세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정부 정책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야당을 중심으로 2030년까지 일몰 연장 법안이 발의된 상태입니다. 완전 폐지보다는 공제율이나 한도 축소 방향으로 조정될 가능성도 있어, 정책 변화를 주시하며 상황별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